지상파 방송 3사가 최근 케이블TV와 IPTV에 주문형비디오(VOD) 이용료를 올리겠다고 통보하며 유료방송 업체와 갈등이 커지고 있다. 지상파는 콘텐츠의 값을 적정 수준으로 맞춰 받는다는 입장이며, 유료방송 업체는 지상파가 광고 매출 하락을 만회하고자 무리한 인상을 단행한다는 견해다.

또 지상파 VOD 이용료가 인상되면 소비자의 부담만 커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함께 나와 귀추가 주목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KBS, MBC, SBS 등 지상파 방송 3사는 케이블TV와 IPTV 등 유료방송 업체에 방송 다시보기 서비스 등의 VOD 이용료를 50% 올리겠다고 통보했다. 지상파의 요구대로 VOD 값이 오르면 HD 프로그램은 1,000원에서 1,500원으로, SD 프로그램은 700원에서 1,000원으로 각각 오른다.

지상파가 VOD 이용료를 인상하는 이유는 ‘콘텐츠의 제값 받기’가 골자다. 그동안 콘텐츠 제작비와 유통을 위한 설비 투자 비용 등은 급격히 상승했지만, VOD의 값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현실에 걸맞은 이용료를 다시 책정한다는 설명이다. 지상파는 이를 ‘콘텐츠 시장 정상화’ 등의 말로 표현한다.

▲ 사진 출처 : 한국방송협회
▲ 사진 출처 : 한국방송협회

반면 유료방송 업체는 지상파의 일방적인 VOD 이용료 인상 요구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반발하는 상황이다. VOD 매출의 성장세가 높자 재송신료 인상과 함께 적자를 만회하려는 속셈으로 보고 있다.

현재 지상파 3사는 지난해 1천억 원 이상의 적자가 발생한 상태로, 지난해 말 유료방송 업체에 기존 가입자당 월 280원인 재송신료를 최고 400원까지 인상해달라고 요구했지만 유료방송 업체가 이를 거절하며 갈등의 골이 깊어져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VOD 이용료와 재송신료 등이 인상되면 소비자만 모든 부담을 질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유료방송 업계는 VOD 이용료 인상으로 발생할 소비자의 저항을 걱정하고 있다. 요금이 오르면 당장 서비스 이용률이 떨어지거나, 웹하드나 P2P 등 불법적인 경로를 통한 시청이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다.

그렇다고 유료방송 업체가 자신들의 수익을 포기하고 서비스 요금을 그대로 유지할 가능성은 없다고 보면 된다. 콘텐츠 이용료가 인상되면, 자사 서비스 요금 또한 올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 이들의 판단이다. 결국 모든 부담이 소비자에게로 넘어오는 이유다.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