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트데일리 김문기 기자]“50대50이다. 이세돌 9단도 자신 있을 것이지만 우리도 자신있다”

구글 자회사 구글 딥마인드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데미스 하바비스는 28일 영국 런던서 서울 역삼동 구글코리아 본사 화상 연결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프로 바둑기사를 무너뜨린 인공지능(AI) 컴퓨터 프로그램 ‘알파고’는 오는 3월 이세돌 9단과 바둑 대결을 펼친다.

데미스 하사비스(Demis Hassabis) 구글 딥마인드 공동 창업자 및 CEO와 데이비드 실버(David Silver) 구글 딥마인드 강화 학습 연구 총괄
데미스 하사비스(Demis Hassabis) 구글 딥마인드 공동 창업자 및 CEO와 데이비드 실버(David Silver) 구글 딥마인드 강화 학습 연구 총괄

데미스 하바비스 CEO는 바둑에 대해 “바둑을 둘 때에는 주로 직관과 느낌이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아름다움, 미묘함, 그리고 지적 깊이로 인해 바둑은 지난 수 백 년 간 인류의 상상력을 사로잡았다”라며, “돌을 놓는 위치에 있어 체스와 비교할 때 경우의 수가 10의 100제곱 이상 많다”고 설명했다.

바둑의 복잡성은 컴퓨터가 바둑을 두는 것을 아주 어렵게 만들었다는 지적이다.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바둑은 매력적인 도전 과제였다는 설명이다. 체스를 두는 컴퓨터는 존재해왔고, 실제로 높은 실력을 뽐냈지만 바둑만큼은 인공지능 연구자들을 계속 좌절시켰다고 강조했다. 컴퓨터 바둑 실력은 아마추어 기사 수준에 불과했다.

구글은 모든 가능한 위치에 탐색 트리(search tree)를 구성하는 전통적 방식의 인공지능은 바둑에서 빛을 발하지 못했기에 딥마인드를 다른 방식으로 접근했다.

‘알파고’(AlphaGo)‘ 시스템을 구축하고 고급 트리 탐색과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을 결합시켰다. 신경망은 수백만 개의 신경세포와 같은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12개의 프로세스 레이어를 통해 바둑판을 분석한다. ‘정책망’(policy network)이라고 부르는 하나의 신경망이 다음 번 돌을 놓을 위치를 선택하고, ‘가치망’(value network)이라고 부르는 또 다른 신경망은 승자를 예측해준다.

알파고는 자체 신경망 간에 수천만 회의 바둑을 두고, 강화 학습이라는 시행착오 프로세스를 사용해 연결고리를 조정함으로써 스스로 새로운 전략을 발견하는 법을 학습하기에 이르렀다.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을 폭넓게 활용한 결과다.

데이비드 실버(David Silver) 구글 딥마인드 강화 학습 연구 총괄
데이비드 실버(David Silver) 구글 딥마인드 강화 학습 연구 총괄

구글 딥마인드는 사람을 흉내내는 것이 아닌 실제 사람과의 대결에서 승리하겠다는 다음 목표를 세웠다. 이 후부터 알파고는 실제 대국에 투입됐다. 인공지능 연구의 선봉에 있는 최고의 바둑 프로그램들과 알파고 사이의 토너먼트를 진행했다.

데이비드 실버 구글 딥마인드 강화학습 연구총괄은 “알파고는 총 500회 대국 중 단 한 번을 제외한 모든 대국에서 승리했다”며, “알파고는 몇 개 수를 접어두고 경기를 하면서도 승리했다”고 강조했다.

이 후 구글 딥마인드는 12세에 바둑계에 입문한 후 유럽 바둑대회에서 3회 우승한 천재 바둑 기사 판 후이(Fan Hui)를 딥마인드 런던 본사로 초청, 알파고와 대국을 진행했다. 지난해 10월 비밀리에 진행된 이 대국에서 알파고는 5회 모두 승리를 거뒀다.

알파고의 3번째 도전은 오는 3월 펼쳐진다. 전설적인 바둑 기사로 불리는 이세돌 9단과 대국을 펼친다.

데이비드 실버 연구총괄은 “아직까지 한국 기원에 알파고를 정식 등록할 계획을 세우지는 않았다”라며, “현 시점에서는 대국에만 신경 슬 예정이지만 진다고 하면 재도전에 대해 분명히 고민에 빠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구글 딥마인드는 알파고가 바둑의 규칙을 하나하나 직접 입력해 개발된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이 아니라 일반적인 머신러닝 기술을 사용하여 스스로 바둑에서 이기는 법을 파악했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알파고에 사용된 방법들은 모두 범용성을 갖고 있어 기후 모델링, 복합성 질환 분석 등 사회의 어렵고 골치 아픈 난제들을 해결하는 데 쓰일 수 있다.

김문기 기자 (moon@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