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날 나는 엄매 아배 따라 우리 집 개는 나를 따라 진할머니 진할아버지가 있는 큰집으로 가면

얼굴에 별 자국이 솜솜 난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하루에 베 한 필을 짠다는 벌 하나 건넛집엔 복숭아나무가 많은 신리(新里) 고모 고모의 딸 이녀(李女) 작은 이녀(李女)

열여섯에 사십(四十)이 넘은 홀아비의 후처가 된 포족족하니 성이 잘 나는 살빛이 매감탕 같은 입술과 젖꼭지는 더 까만 예수쟁이 마을 가까이 사는 토산(土山) 고모 고모의 딸 승녀(承女) 아들 승(承)동이

육십 리라고 해서 파랗게 보이는 산을 넘어 있다는 해변에서 과부가 된 코끝이 빨간 언제나 흰옷이 정하던 말끝에 섧게 눈물을 짤 때가 많은 큰골 고모 고모의 딸 홍녀(洪女) 아들 홍동이 작은 홍동이

배나무 접을 잘 하는 주정을 하면 토방돌을 뽑는 오리치를 잘 놓는 먼 섬에 반디젓 담그러 가기를 좋아하는 삼촌 삼촌 엄매 사촌 누이 사촌 동생들이 그득히들 할머니 할아버지가 있는 안간에들 모여서 방안에서는 새 옷의 내음새가 나고

또 인절미 송구떡 콩가루차떡의 내음새도 나고 끼때의 두부와 콩나물과 볶은 잔디와 고사리와 도야지비계는 모두 선득선득하니 찬 것들이다

저녁술을 놓은 아이들은 외양간 옆 밭마당에 달린 배나무 동산에서 쥐잡이를 하고 숨굴막질을 하고 꼬리잡이를 하고 가마 타고 시집가는 놀음 말 타고 장가가는 놀음을 하고 이렇게 밤이 어둡도록 북적하니 논다

밤이 깊어가는 집 안엔 엄매는 엄매들끼리 아랫간에서들 웃고 이야기하고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윗간 한 방을 잡고 조아질하고 쌈방이 굴리고 바리깨돌림하고 호박떼기하고 제비손이구손이하고 이렇게 화대의 사기방등에 심지를 몇 번이나 돋우고 홍게닭이 몇 번이나 울어서 졸음이 오면 아랫목싸움 자리싸움을 하며 히드득거리다가 잠이 든다

그래서는 문창에 텅납새의 그림자가 치는 아침 시누이 동세들이 욱적하니 흥성거리는 부엌으론 샛문 틈으로 장지문 틈으로 무이징게국을 끓이는 맛있는 내음새가 올라오도록 잔다

감상의 글
이 시는 추억의 통로다. 시를 읽노라면 좋은 추억으로 잘 차려진 밥상을 마주한 듯한 기분이 든다. 어린 시절 명절에 아버지 어머니 따라 할아버지댁과 외할머니댁에 갔을 때의 기억들이 난다. 우리를 껴안고 ‘내 강아지 왔능가!’ 하시던 할머니들, 사촌들과 함께 했던 즐거운 놀이들, 아버지 따라 여기저기 세배드리던 기억들, 성묘 다니던 눈 덮인 산길들, 꾹꾹 밟아주던 파아란 보리들, 아주 맛난 음식들, 새벽 잠결에 들리던 어른들의 대화 등이 기억난다.

이 시를 읽으면 몸속의 여러 감각들이 깨어난다. 명절이 되어 엄마 아버지 따라 큰집으로 길을 나서는 가족들의 모습들이 눈에 보인다. 큰집에 도착하면 이미 와 있는 친척들, 또 속속 도착하는 친척들이 보인다. 어른들의 얘기를 듣다보면 각 집안의 사연들도 꿰차게 된다. 온 집안 식구들이 방에 가득히 모여 앉아 있으면 갓 지은 새 옷 냄새가 나고 그간의 안부들을 묻느라 정신들이 없다. 거기다 애들이 재롱이라도 부리면 박수를 치고 웃고 난리다.

이제 인사가 끝나면 어른들은 음식 준비하느라 바쁘다. 인절미를 비롯한 여러 가지 떡들, 콩나물 등 여러 나물, 돼지고기 등을 만드는 손길들이 분주하다. 음식이 만들어질 때 옆에서 하나씩 집어먹는 것도 꽤 재미있다. 저녁때가 되면 상이 몇 개 펼쳐지고 거기 둘러앉아 밥을 먹는다. 명절 음식은 차린 것이 많아 언제나 즐겁다. 밥을 먹고 나면 어른들은 상을 치우고 정리할 때 아이들은 우 하니 밖으로 나간다. 큰집 부근 동산에 올라 쥐잡이도 하고 숨바꼭질 등 여러 가지 놀이들을 하며 논다. 날이 어두워질 때까지 논다.

집에 들어오면 정리를 마친 엄마들은 엄마들끼리 웃고 떠들며 이야기하고, 아이들은 또 방을 하나 차지하고 놀기 시작한다. 공기놀이부터 시작해서 여러 가지 놀이들을 한다. 놀이들을 하며 떠들어 대는 소리가 귀에 들리는 듯하다. 새벽이 되도록 놀다가 하나둘 졸음을 못이기고 잠자리에 들 무렵 서로 좋은 자리 차지하겠다며 다투면서도 웃는다. 그러다 잠이 들고 아침에 맛있는 국물 냄새가 날 때까지 잠을 잔다. 많은 아이들이 천진하게 잠을 자는 모습은 언제 봐도 정겹다.

백석은 참 고마운 시인이다. 명절의 흥겨운 분위기를 시 한 편에 오롯이 담아 우리에게 추억을 선사하니 말이다. 이 시에는 명절의 분위기뿐만 아니라 북녘 지방의 토속 방언을 충실하게 담아 향토적인 느낌을 듬뿍 담고 있다. 1912년에 평안북도 정주군에서 태어난 백석(본명 백기행)은 원래 단편소설로 등단했다가 시 부문으로 눈길을 돌린다. 백석은 시를 쓰기 위해 여러 고장을 돌아다니며 고유의 민속, 향토 음식 같은 것들을 취재하여 시에 담는다. 이 잘 생기고 능력 있는 시인이 한 말이 가슴에 닿는다. “만주라는 넓은 벌판에서 시 1백 편을 건져오리라.”

최성원 기자 ipsi1004@nextdaily.co.kr 시인이자 칼럼니스트. 시집으로 「천국에도 기지국이 있다면」이 있다. 현재 서울 동부이촌동에서 국어와 논술을 가르치고 있으며, 저서로는 「7일 만에 끝내는 중학국어」 등이 있다. 또 ‘하얀국어’라는 인기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시와와(詩와와)’는 ‘시 시(詩)’에 ‘와와(여러 사람이 한꺼번에 웃거나 소리를 지르거나 떠들어 대는 소리나 모양)’를 결합하였다. 시 읽기의 부흥이 오기를 희망한다. 100편의 시를 올릴 계획이다. 걷기와 운동, 독서와 집필, 사람 만나는 것, 그리고 야구를 좋아한다.

(*이 칼럼은 Nextdaily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