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JTBC 방송화면 캡처
사진=JTBC 방송화면 캡처

'5·9 장미대선'이 어느 때보다 뜨겁게 이어졌다. TV토론회와 SNS의 영향력이 커졌지만 정책 싸움과 후보 단일화는 실종됐다.

박근혜 전(前) 대통령의 파면으로 시작된 이번 대선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 정의당 심상정 후보 등 주요 5당 대선후보들의 싸움으로 압축됐다.

특히 이들은 지난달 13일부터 지난 2일까지 6차례의 TV토론회에서 치열하게 맞섰다. 이번 대선 토론회는 앞선 대선의 토론회를 보고 지지후보를 바꾸는 일이 제한적이라는 평가를 뛰어넘기 위해 스탠딩 토론 등 다양한 방식이 도입됐다.

이에 토론회를 거치며 일부 후보자의 지지율이 요동쳤고 부동층의 표심도 함께 움직인 것으로 관측됐다. 실제로 문 후보와 오차범위 내 '양자 구도'를 형성했던 안 후보는 토론회를 거치며 지지율이 오히려 떨어졌다. 이에 반해 홍 후보와 심 후보의 지지율이 토론회를 통해 지지율을 끌어올렸다.

이는 선거운동 기간이 짧은 만큼 후보의 자질과 정책능력 등을 검증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측면에서 TV토론회가 유권자에게 중요한 판단 잣대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SNS도 유권자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폰과 SNS의 일반화로 후보들은 매일 선거운동을 SNS에서 생방송했으며 유권자들은 실시간으로 후보들의 선거운동을 지켜봤다. 여기에 유권자들은 활발하게 피드백을 보내며 쌍방향 선거운동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국가 비전과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는 대형 정책과 후보들 간의 정책 대결은 사라졌다. 매 대선마다 대통령이 된 후보는 대선판을 흔드는 공약을 내걸었다. 일례로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 뿌리가 된 '한반도 대운하' 공약이 대표적이다.

이번 대선에서는 대선의 중요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됐던 개헌이 기대보다 주목을 받지 못했다. 또 경제 정책 등 중요 화두가 될 수 있는 부분에서의 대형 정책도 등장하지 않았다. 다만 선거운동을 이어가며 홍 후보 측이 보수층 집결을 시도해 '진보 대 보수' 대결 흐름이 재연됐다.

대선의 판세를 결정할 수 있는 후보 단일화도 없었다. 지난 대선에서는 문 후보와 안 후보의 단일화가 있었고 2002년에는 정몽준 후보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단일화가 이뤄졌다. 이에 앞선 1997년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김종필 전 총리와 손을 잡은 바 있다.

이 외에도 이번 대선에서는 '가짜뉴스' 난무했다. 각 후보를 겨냥한 허위사실과 비방 등 가짜뉴스가 활개를 치며 얼굴을 찌푸리게 했다. 특히 가짜뉴스는 SNS를 통해 짧은 시간 급속하게 확산되기도 했다.

황재용 기자 (hsoul38@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