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 제공
사진=게티이미지 제공

'살충제 계란' 전수조사가 '부실조사'로 결론나면서 정부의 '식품 안전관리'에 허점이 드러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주 살충제 계란 사태로 국내 산란계 농장의 전수조사를 실시했다. 하지만 부실조사 논란이 일면서 오늘(21일) 오전까지 조사에서 검사항목이 누락된 420개 농장의 보완조사를 벌였다.

조사 결과 3개 농장에서 유통이 불가능한 살충제 계란이 나왔다. 전북 1개, 충남 2개 농장에서 '플루페녹수론'이 검출됐다. 이 성분은 계란에서 검출돼선 안 되는 살충제 성분으로 정부는 이들 농가 모두에게 부적합 판정을 내렸다.

전북 농가의 경우 계란에 '난각(계란 껍데기)코드'가 없었다. 이 농가는 계란을 소규모씩 판매하는 농가로 개인적으로 소량씩 팔거나 식당 등에 납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 농가의 계란이 난각코드 없이 얼마나 유통됐는지를 추가로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또 농식품부는 이들 농가의 계란을 즉시 출하중지 했으며 유통물량의 추적조사를 통해 계란을 전량 회수해 폐기할 계획이다.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장이 3곳 추가되면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농가는 총 52개가 됐다. 그중 친환경 농가는 절반이 넘는 31개다.

문제는 정부가 이번 사태를 수습하면서 계속해서 허점이 드러나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는 지난 14일 경기도 남양주시 소재 농가 등에서 '피프로닐' 등이 검출되면서 전국 산란계 농가의 계란 출하를 전격 중단하고 전수검사에 돌입했다. 그러나 조사 내내 곳곳에서 구멍이 뚫렸다.

우선 조사 담당자가 직접 농장을 방문해 시료를 수집하지 않고 농장주들이 제출한 계란만을 검사하면서 부실조사 논란이 커졌다. 이에 농식품부는 121개의 농장을 대상으로 재검사를 실시했고 이 과정에서 2개 농장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여기에 지방자치단체별로 이뤄진 전수조사 과정에서 일부 지자체가 27종의 농약 표준시약을 모두 보관하고 있지 않아 일부 검사항목이 누락됐다. 농식품부는 420개 농장의 보완조사를 벌였고 이 조사에서도 살충제 성분이 나왔다. 정부의 전수조사가 부실조사라는 지적을 피할 수 없는 이유다.

특히 계란이 일상생활에서 많이 섭취하는 식품이라 소비자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보완조사를 거쳤지만 추가조사 기간 살충제 계란이 나온 농장의 계란 유통이 금지되지 않아 살충제 계란이 유통됐다. 당연히 출하를 막고 조사를 벌여야 했지만 조사만을 강행해 정부가 뒷북만 치고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기도 했다.

이에 앞서 살충제 계란이 식품제조업체 2곳에 납품된 사실도 확인됐다. 류영진 식약처장과 김영록 농식품부 장관은 정부가 조치를 취하고 있어 유통된 계란이 안전하다며 소비자를 안심시켰지만 살충제 성분이 계속해서 검출돼 혼란이 커졌다. 이는 결국 정부가 스스로의 신뢰를 허무는 결과를 가져왔다.

한 관련 업계 관계자는 "식품 안전관리를 책임지는 정부부처의 책임자의 말도 거짓말로 드러났다. 보완조사까지 이뤄졌지만 검사 결과를 믿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계란은 물론 우리가 먹는 식품의 안전관리에 구멍이 뚫지는 않았는지 걱정이 크다"고 덧붙였다.

황재용 기자 (hsoul38@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