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정부가 2030년까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세계 1위를 달성하는 등 메모리 반도체를 넘어 ‘종합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에서 열린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 비전 선포식'에서 '시스템 반도체 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앞으로 10년간 연구개발(R&D)에 1조원을 투자하는 등 지원을 아끼지 않기로 했다.

이번 전략은 2030년까지 133조원을 투자해 시스템반도체를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한 삼성전자의 '반도체 비전 2030'에 맞춰 정부가 반도체 산업 생태계에 요구되는 인프라 지원을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우선 '얼라이언스 2.0'이라는 협력 플랫폼을 구축했다. 5대 전략 분야인 ▲자동차 ▲바이오 ▲에너지 ▲사물인터넷(IoT) 가전 ▲기계·로봇 등을 중심으로 시스템반도체 수요가 많고 국내 기업이 빠른 시간 내 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분야에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반도체·수요 공급기업, 연구기관 등 25개 기관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특히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향후 10년간 1조원 이상이 투입된다. 이를 통해 자동차·바이오·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제조업 미래를 견인할 분야의 핵심 원천·응용기술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자금은 산업부 5200억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800억원 등으로 조성된다.

여기에 정부는 2030년까지 시장과 기업이 필요로 하는 고급·전문인력 1만7000명 양성을 추진한다. 다품종 맞춤형의 시스템반도체 산업 특성을 고려해 다양한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2021년 연세대·고려대에 반도체 계약학과를 신설하는 등의 방안이 이어진다.

약 200개의 중소 팹리스(생산시설 없이 반도체 설계만 담당하는 업체) 기업들이 에너지, 안전, 국방 등 공공시장에 진출해 실적을 쌓고 수출을 할 수 있는 지원 방안도 마련된다. 5G와 시스템반도체를 연계하기 위해 네트워크 장비 및 디바이스, 무인이동체(드론) 등 5G 산업별로 팹리스와의 연계 시스템도 구축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2030년까지 세계 1위 파운드리로 성장하기 위해 삼성전자와 같은 대기업은 5G·AI·바이오 등 첨단 분야를, 중견기업은 전력반도체·아날로그반도체 등 틈새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공조전략을 수립하고 정부가 이를 지원한다.

특히 이날 문재인 대통령은 삼성전자 화성 사업장에 참석 "우리의 목표는 분명하다. 2030년까지 시스템반도체 파운드리 분야 세계 1위를 달성하고 팹리스 분야 시장 점유율 10%를 달성하는 것"이라며 "정부도 분야별 혁신전략을 수립하고, 국민과 기업들이 과감하게 신산업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황재용 기자 hsoul38@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