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 한반도 지진 데이터 확보 가능해
기상청, 지진조기경보 시간 단축 기대

SK텔레콤 엔지니어가 기지국에 설치한 지진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데이터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 엔지니어가 기지국에 설치한 지진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데이터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산, 들판, 도심 등 전국에 있는 SK텔레콤 기지국이 통신망 뿐 아니라 ‘지진관측소’ 역할도 맡는다.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은 기상청·경북대학교와 손잡고 한반도 지진 탐지 및 경보체계와 연계할 수 있는 ‘지진관측 네트워크’를 시범 구축한다고 9일 밝혔다. 기상청 지진관측과 정확도와 신속한 조기경보 시스템을 갖추기 위함이다.

SK텔레콤은 전국에 분포한 기지국, 대리점 등 3000여 곳에 지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기상청 지진관측시스템과 연동해 지진에 대응할 수 있는 ‘지진관측 네트워크’를 국내 처음으로 만든다. SK텔레콤은 연내 파출소, 초등학교 등 8천여 곳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지민 기상청 지진화산연구과 연구관이 한국에스지에스 동탄시험소에서 '지진관측 네트워크' 시범 구축 관련 설명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이지민 기상청 지진화산연구과 연구관이 한국에스지에스 동탄시험소에서 '지진관측 네트워크' 시범 구축 관련 설명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현재 기상청은 전국 338개 지진관측소 지진관측자료를 활용해 지진 관측 후 7~25초 내에 지진조기경보를 발령하고 있다. 이번 SK텔레콤 협력을 통해 지진관측자료가 보강된다면 보다 정확한 진도정보 생산과 지진조기경보 시간 단축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SK텔레콤·기상청·경북대학교는 국가 지진대응체계 고도화를 위한 연구를 2021년까지 추진키로 했다. 현재 기상청은 SKT 기지국 내 설치된 지진감지센서의 진동 데이터를 기상청 지진관측자료와 비교해 지진분석 성능을 검증하고 지진정보 서비스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미래 기상청-SKT 지진관측 협력 네트워크 구성도 [인포그래픽=SK텔레콤]
미래 기상청-SKT 지진관측 협력 네트워크 구성도 [인포그래픽=SK텔레콤]

실제로 SK텔레콤은 이날 내진, 진동 등의 안정성 검증을 수행하는 한국에스지에스 동탄시험소에서 기상청, 경북대학교와 함께 모의 지진 시험을 진행했다. 시험을 위해 지진 규모 6.0 이상 지진과 유사한 진동을 발생시켜 기지국으로부터 진동 데이터를 수집, 분석 등의 과정을 선보였다.

시험에는 SK텔레콤의 지진감지센서가 동원됐다. 기상청의 고성능 지진관측장비와는 달리 소형의 저가형 장비로 한 뼘 크기의 220V 플러그 타입이라 설치와 이동이 편리하다. 또 초당 100회 진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밀 분석을 통해 일반 진동과 지진을 구분할 수 있다.

이덕기 기상청 지진화산연구과장은 “지진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이 큰 만큼, 지속적인 민관협업과 연구개발을 통해 신속•정확한 지진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류정환 SK텔레콤 5GX Infra 그룹장은 “최근 이통3사가 협력한 재난로밍 구현 등 재난상황에 대비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금번 기상청-경북대 협력을 통한 지진관측 네트워크 구축을 비롯하여, 앞으로도 5G시대에 통신사가 보유한 다양한 인프라를 활용해 사회적 가치창출에 힘쓸 것” 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 횟수는 88회다. 이 중 규모 4.0 이상 2건의 지진은 강원도 동해와 경북 포항에서 각각 50Km 가량 떨어진 해역에서 발생했다. 규모 5.0이상의 지진 10건 중 5건이 2010년 이후에 발생됐고, 가장 큰 지진이었던 경주 지진(규모 5.8)과 포항 지진(규모 5.4)이 2016년과 2017년에 잇달아 발생했다.

김광회 기자 elian118@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