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지난 20일 서울 중구 티마크 그랜드호텔 명동 그랜드홀에서 제주지역 6개 수협과 `수산물 이력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을 거행했다. 협약식 후 해수부 서장우 수산정책실 실장(왼쪽 네 번째)와 제주지역 수협 조합장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해양수산부 제공
해양수산부는 지난 20일 서울 중구 티마크 그랜드호텔 명동 그랜드홀에서 제주지역 6개 수협과 `수산물 이력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을 거행했다. 협약식 후 해수부 서장우 수산정책실 실장(왼쪽 네 번째)와 제주지역 수협 조합장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해양수산부 제공

일본 원전 오염수 누출과 깨끗하지 못한 중국산의 국내산 둔갑 등으로 수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안전한 국산 수산물 먹거리의 정착을 위해 정부기관과 생산자 단체가 손을 잡았다.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는 지난 20일 서울 중구 티마크 그랜드호텔 명동 그랜드홀에서 제주지역 6개 수협과 ‘수산물 이력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을 거행했다.

해수부 서장우 수산정책실 실장과 해당지역 조합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날 협약은 정부기관과 수산물 생산자 단체간의 첫 번째 결실로 주목을 받았다.

수산물 이력제는 어장에서 식탁에 이르기까지 수산물의 이력정보를 기록·관리해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수산물을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다.

해수부는 지난 2005년 대중성 어종 등 사회적 의미가 큰 품목을 중심으로 이력 수산물을 지정해 관리하는 등 소비자가 직접 이력을 확인해 국내산 수산물을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인프라 구축에 노력해 왔다.

이 사업은 2008년 정식 도입됐으며 2015년 대형마트, 2016년에는 대형백화점 등 판매처와 우선 협약을 체결하고 국내산 수산물의 이력을 소비자들이 손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해 왔다.

올해 6월말 기준으로 김과 굴·참조기·넙치·고등어·갈치 등 46개 품종, 2004톤의 물량에 대해 수산물 이력제를 실시했다.

구입한 상품의 이력을 알기 원하는 소비자는 수산물 이력제 앱을 다운받아 제품에 표기·부착된 바코드를 통해 생산·가공·유통·판매단계의 전 이력을 손쉽게 확인 할 수 있다.

해수부는 앞으로 중점추진품목 취급수협 중 이력제품을 다량 출하하는 부산이나 서귀포, 흑산도 등 지역 수협을 이력제 거점 수협으로 지정해 집중 관리키로 했다.

이와 함께 소비자단체, 오피니언 리더 등과 연계해 수산물 이력제 활성화를 위한 여론형성과 SNS·PPL 등 새로운 홍보수단을 적극 활용해 이 제도를 국민들에게 적극적으로 알리기로 했다.

정영일 기자 (wjddud@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