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간 운동으로 단련된 스포츠 선수들의 심장은 의학적으로 ‘스포츠 심장’으로 불린다. 영국 프리미어리그에서 맹활약을 한 박지성 선수는 '두 개의 심장'이라는 별명을 지녔다.

스포츠심장은 마라톤이나 축구, 수영 등 특히 지구력을 증가시키는 운동을 하루에 1시간 이상씩 정기적으로 시행한 운동선수들에게서 관찰된다. 일반인에 비해 좌심실의 용적이 크며 벽이 두꺼워져 있고 심장맥박이 느린 서맥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특히 좌측심장(좌심실)이 우측심장(우심실)에 비해 크고 두껍다.

스포츠심장
스포츠심장

스포츠 심장을 가진 선수들은 어릴 때부터 운동을 지속적으로 해오면서 심장이 최적의 효율을 내도록 적응한 몸으로 이해하면 된다. 운동 중에는 신체의 모든 장기에서 보다 많은 혈액량을 필요로 한다.

일반인은 혈액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심장 박동이 빨라지면서 심박출량을 증가시키게 되고, 심박동이 빨라지게 되면 호흡곤란이나 흉통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가 있다.

그러나 스포츠 심장을 가진 선수들은 좌심실의 근육이 두꺼워지고 용량이 커져있어 한 번의 심박동을 통해서도 많은 양의 심박출량을 공급할 수 있어 심박동이 느리고, 호흡곤란 같은 증상이 없이 지속적으로 운동이 가능하다.

실제 검사를 해보면 일반인이 1분에 70~80번 박동 시 스포츠심장은 40~50번 박동해도 충분하다는 게 의료계의 분석이다. 마라톤 황영조 선수와 이봉주 선수는 분당 심장박동수가 38회로 절반 수준이며, 박지성 선수도 역시 40회로 알려졌다.

스포츠 심장은 심장박동수가 적으면서 심장이 최대치에 이르렀다가 다시 정상으로 회복하는 시간도 빠르다. 마린보이 박태환 선수의 심장박동수도 60회 정도에 정상 회복까지 2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일반인들이 평균 3분이 걸린다 하면 무척 빠른 편이다. 또한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도 잘 발달해 있어 힘차게 움직여 과격한 운동을 한 후에도 바로 심장 근육에 영양과 산소를 충분히 공급 받을 수 있어 과도한 운동에도 견딜 수 있다.

그러나 심장의 크기와 운동능력이 비례하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오히려 나쁜 징후에 해당한다.

고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최철웅 교수는 “일반인들이 심비대가 생기는 원인은 고혈압이 오래되었거나, 또는 유전적으로 비후성 심근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로 과도한 운동은 오히려 호흡곤란이나 흉통을 동반한 심근경색, 협심증 등으로 발현할 수 있고, 치명적인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일반인이 스포츠심장을 갖기 위해 무리한 운동을 하는 것은 독이 되기에 자제해야 한다. 일주일에 운동으로 2000kcal를 소모하면 사망률이 25~30% 감소하지만, 4000kcal이상 소모 시 오히려 사망률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온라인뉴스팀 (news@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