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경기 일부 지역 5G 네트워크에 적용

국내 기술로 개발된 양자암호통신 서비스 출시가 순조롭게 첫 단추를 끼웠다.

KT(대표 구현모)는 5G 데이터를 국내에서 개발한 양자암호통신기술로 암호화한 뒤 전송하는 실증(필드 테스트)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양자암호통신은 빛 양자(알갱이) 입자인 ‘광자’를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기술로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보안기술이다. 두 개 입자가 강한 상관성을 가지면 아무리 멀리 떨어뜨려 놔도 한쪽이 반응하면 다른 한쪽도 즉각 반응하는 ‘양자 얽힘’ 현상으로 인해 해킹이나 감청 시도 시 원본 데이터가 즉시 손상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해커는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없고, 감시자는 해킹 시도를 바로 알아차릴 수 있다.

이번 실증은 국내 개발 양자암호통신이 성공을 거뒀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국내는 앞서 SK텔레콤이 지난해 자사 통신망 일부에 국내 최초로 양자암호통신 기술을 적용한 사례가 있지만, 이 기술은 SK텔레콤이 스위스 양자암호통신 기술기업 ‘IDQ’를 인수하고 여기다 국내 기술을 접목해 발전시킨 것이다.

KT 연구원이 국내에서 개발한 양자 암호 통신 기술이 적용된 5G 네트워크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KT]
KT 연구원이 국내에서 개발한 양자 암호 통신 기술이 적용된 5G 네트워크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KT]

KT는 자체 개발한 ‘양자키분배(QKD)시스템’과 국내 중소기업이 개발한 ‘암호화 장비(Encryptor)’를 ‘개방형 계층구조(ITU-T Y. 3800)’ 국제 표준에 따라 경기도 일부 지역 고객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는 5G 네트워크에 적용했다. KT는 이번 테스트에서 양자암호통신 적용 시 속도저하나 지연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양자난수생성기능’을 KT 기업용 상품 ‘원박스(One Box)’에 도입하는 ‘기업용 퀀텀 VPN’ 테스트도 함께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개방형 계층구조 표준은 양자 암호 통신망을 구축하는 구조를 국내외 사업자들이 여러 계층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으로 정의한 것이다. 기존에는 미국의 매지Q, 일본 도시바, 중국의 퀀텀씨텍 등 해외 제조사가 전체 양자 암호 통신 네트워크를 독점 구축하는 방식이었다. KT는 개방형 계층구조와 이에 대한 상세 기술 요구 사항(ITU-T Y. 3801)을 국제 표준으로 2019년 10월, 2020년 5월 각각 승인 받았다.

KT 기업부문 박윤영 사장(왼쪽)과 육군사관학교 정진경 교장이 MOU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KT]
KT 기업부문 박윤영 사장(왼쪽)과 육군사관학교 정진경 교장이 MOU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KT]

KT는 이번 실증 성공으로 한 차원 높은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그 동안의 연구로 확보한 KT 양자암호기술들이 공공, 국방, 금융 등 국가 주요 영역에서 활약하는 차세대 보안 솔루션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KT는 지난 8일 육군사관학교와 4차산업혁명 핵심기술을 활용한 첨단 스마트캠퍼스 구축과 군 정보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어 양자암호통신 적용을 통한 군 내 통신보안 강화도 예고하고 있다.

서영수 KT 네트워크연구기술단장 상무는 “2019년부터 장시간 국내 최고 수준의 양자 암호 통신 전용 장비 검증 절차를 거쳤다”며 “KT의 축적된 역량을 바탕으로 기능과 성능이 확인된 만큼 앞으로 양자암호통신망의 구축과 운영에도 만전을 기해서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종식 KT 인프라연구소장 상무는 “KT는 지난 4년간 양자 컴퓨터의 실제적인 위협에 대비하여 다양한 양자암호통신 솔루션들을 연구 개발 해왔다”며 “KT의 강점을 최대한 살린 차세대 양자 보안 솔루션을 고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전했다.

김광회 기자 elian118@nextdaily.co.kr

저작권자 © 넥스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